[World]
• International: A costly solution for water shortages
[Korea]
• 대통령실: 李대통령, 8·15에 광화문서 ‘국민 임명식’
• 국정기획위: [단독] 국민성장펀드 '150조+α'로 판 키운다
• 국회: [오늘의 주요일정]국회(7월29일 화요일)
• 기재위(안도걸): 정치권 '스테이블코인법' 발의, 제도화 첫발…"새 디지털 금융시대 연다"
• 기재위(안도걸): [단독] 與, 개미 배당세율 인하 법안 발의..."2천만원 이하엔 9%"
• 금융위: [단독]금투협 "5년간 모험자본에 53조 공급"
• 금융시장: 코스피, 나흘째 올라 3,200대 회복…삼성전자 급등
• 산업부: 정부, 美에 수십조원 조선업 협력 ‘마스가’ 제안
• 비금융사: 삼성전자, 테슬라서 23조원 파운드리 수주
• 운송업계: [단독]덜 내고 더 받는 '택시판 국민연금' 파산 위기
• 법사위: ‘집중투표 의무화' 상법개정안 법사소위 통과
• 인사혁신처: 최동석 '막말 리스크' 확산…與는 감싸고, 野 연일 공격
• 언론계: YTN 김백 사장, 1년 4개월만에 전격 사임
[Opinions]
• Project Syndicate(Jeffrey Frankel): Are Trump’s Criticisms of Fed Policy Based on Economic Conditions?
• Project Syndicate(Hélène Rey): Currency Dominance in the Digital Age
• Project Syndicate(Marcel Fratzscher): The ECB’s Monetary-Policy Revolution
• WSJ(Editorial Board): Trump and the EU Dodge a Trade War
• WSJ(Gerard Baker): If Trump’s Tariffs Are So Bad, Where’s the Recession?
• WSJ(Amit Seru): Can Markets Trust Stablecoins?
• FT(Ruchir Sharma): What the world got wrong about tariffs
• Bloomberg(Allison Schrager): Don’t Be Seduced by Zero-Sum Thinking About the Economy
• 동아(사설): 무인기 ‘계통 무시’ ‘사후 은폐·조작’… 비정상의 연속
• 동아(사설): 강경일변도 대표 경선, 최동석 발언 논란… 갈피 못 잡는 與
• 조선(사설): 정상이라 보기 힘든 언행 인사처장, 공직사회 납득하겠나
• 조선(사설): 스토킹범 접근하면 자동 경보 울리는 시스템 도입을
• 조선(사설): 노란봉투법, 관세협상 카드 조선업부터 타격 입을 것
• 중앙(사설): 대통령은 “국익” 외치는데 여당은 “농산물 개방 반대”
• 중앙(사설): 관세 폭풍 몰아치는 와중에 기업 법인세까지 올리나
• 문화(사설): ‘송도’ 6일 만에 의정부 스토킹 살인, 치안 불안 심각하다
• 문화(사설): ‘더 센 노란봉투법’ 꺼낸 李정부, 反기업 어디까지 가나
• 문화(사설): EU도 관세 타결…美와 ‘산업동맹’전략으로 담판해야
• 국민(사설): 일본차도 유럽차도 관세 15%… 협상 마지노선 정해졌다
• 국민(사설): 스토킹·사제 총기 살인 사건, 경찰은 어디 있었나
• 국민(사설): 급증하는 보이스피싱 피해 AI로 막겠다는데
• 서울(사설): 15% 관세 턱걸이도 버거운데… 왜 ‘기업 부담 가중법’을
• 서울(사설): 수련 단축, 졸업 전 인턴… 특혜 요구가 특권인 의대생들
• 서울(사설): 또 스토킹 참변… 가해자 신속 분리 없인 비극 못 막는다
• 세계(사설): 김여정 대남담화 의미 있으나, 대북접근은 신중하게
• 세계(사설): 최동석 ‘막말’ 사죄하고, 대통령실은 거취 고민해야
• 세계(사설): 노란봉투법 입법 속도전, 지금이 기업 압박할 때인가
• 한국(사설): EU도 15% 관세 타결, 막판까지 국익 사수해야
• 한국(사설): 스토킹 범죄 적극 대응, 억울한 죽음 막는다
• 한국(사설): “마주 앉을 일 없다”는 김여정…대북 정책 완급 조절을
• 한겨레(사설): 북의 매몰찬 첫 반응, 굴하지 말고 관계 개선 노력을
• 한겨레(사설): EU도 15%로 타결, 반도체·조선 카드로 피해 최소화해야
• 한겨레(사설): 이제야 고개 숙인 전공의, ‘의료공백 재발 방지’ 이어져야
• 경향(사설): ‘원청 책임·손배 청구조건’ 강화한 노란봉투법 처리해야
• 경향(사설): “한국과 마주앉을 일 없다”는 북한, 긴 호흡으로 신뢰 쌓길
• 경향(사설): 언론사 단전단수·계엄 공모·위증, 이상민 구속하라
• 매경(사설): 日 이어 EU도 車 15% 관세 합의 … 벼랑 끝에 선 韓 자동차
• 매경(사설): 환자단체 찾아 사과한 전공의, 현장 복귀 서둘러야
• 매경(사설): 삼성전자 22조원 파운드리 수주 … 대추격 신호탄 되길
• 한경(사설): 韓 자동차 관세 마지노선은 12.5%, 반드시 사수해야
• 한경(사설): 삼성, 테슬라와 대규모 파운드리 계약…가뭄에 단비 같은 소식
• 한경(사설): K 열풍에 올라타지 못하는 역직구, 기업 혁신 부족 탓
• 서경(사설): 삼성 파운드리 23조 수주…규제 족쇄 풀고 기술 혁신 지원할 때
• 서경(사설): 글로벌 생존 경쟁 치열한데 ‘더 센’ 상법 밀어붙일 때인가
• 서경(사설): 日 이어 EU 15% 관세 합의…수출 경쟁력 확보 총력 다하라
• 파이낸셜뉴스(사설): 생산적 금융 위한 전제 조건은 규제 장애물 제거
• 파이낸셜뉴스(사설): 더 센 노란봉투법 끝내 강행, 벼랑끝 선 기업 밀치나
• 헤럴드경제(사설): 외투기업 떠날 판에 ‘노란봉투법’ 신중 접근 절실
• 헤럴드경제(사설): 美-EU 15% 타결…수출 지키고 내치로 풀어야
• 이데일리(사설): 3종 특혜도 모자라 추가 특혜 달라는 복귀 의대생들
• 이데일리(사설): 외국인 부동산 소유 규제 강화, 검토할 이유 충분하다
No comments:
Post a Comment