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World]
[Korea]
• 대통령실: 지지율 오르며 드러나는 李心
• 대통령실: 통상 협상에 발 묶인 韓美정상회담
• 국회: [오늘의 주요일정]국회(7월9일 수요일)
• 민주당, 국민의힘: 초등 학원비 稅혜택 확대 여야 공통공약 입법 시동
• 민주당: 與 "부동산만 황금시장 아냐"
• 기재부: 연금계좌 해외펀드 배당, 9% 공제 추진
• 거시경제: “트럼프 관세, 韓 실질 GDP 1% 하락시킬 것”
• 시민단체: "부자감세 없애고, 기업-대자산가 세금 늘려야"
• 정무위(김남근): [단독] "유예기간 내 모두 처분"…與, 자사주 소각 법안 첫 발의한다
• 정무위(박찬대): 與 당권주자 박찬대 “내란범 정당 보조금 환수” 국힘 겨냥 특별법 발의
• 정무위(이인영): [단독]가계대출 66% DSR 미적용…규제 허점된 전세대출
• 금융위: 1년간 성실히 빚 갚으면 '개인회생 낙인' 지워준다
• 금융위: 수출기업 투자땐 '당근'…주택대출 늘리면 '채찍'
• 금감원: 금감원 “금융권 가계대출 총량 목표치 다시 내라”
• 주금공: 집값 오르니 주택연금 가입 넉 달 만에 감소
• 금융시장: 韓, 2분기 ‘MSCI 지수 수익률’ 64개국 중 1위
• KDI: KDI "2차 추경으로 소비 회복 기대"
• 비금융사: 삼성, 1조원대 반도체 충당금… “3분기 반등 의지”
• 법사위(주진우): 이진숙, 제자 논문 통째 표절 의혹… ‘10m 정도’를 ‘10m wjd도’로 쓰기도
• 외통위(김기현): 정동영 아내, 농지 산뒤 지목 바꿔 단독주택 신축
• 행안위(김성회): 與김성회, 국민연금 운영비 전액 국고지원 법안 발의
• 교육위(김민전): [단독] 둘째 딸은 부모 없이 조기유학…이진숙 후보자 초·중등교육법 위반 논란
• 복지위(김미애, 서명옥): [단독] 정은경 남편 농지 법 '이중위반'…前땅주인 직불금 타갔다
• 서울시: 출퇴근 물길 열렸지만… 갈 길 먼 한강버스
• 도봉구: 도봉구 방학신동아 1단지 재건축 본격화
[Opinions]
• Project Syndicate(David Amiel): Europe’s Two-Front Trade War
• WSJ(Editorial Board): The Tariff Damage in Profile: Energy Edition
• WSJ(William A. Galston): Make America Solvent Again
• NYT(Lawrence Summers): This Law Made Me Ashamed of My Country
• NYT(Kyla Scanlon): How the Attention Economy Is Devouring Gen Z — and the Rest of Us
• FT(Martin Wolf): Trump’s assault on American greatness
• FT(Chris Miller): China’s weaponisation of rare earths is a new kind of trade war
• Bloomberg(Jonathan Levin): Fed Governor Waller Is Trump’s Best Powell Replacement
• Bloomberg(Clive Crook): What Me Worry? Markets Face a Rendezvous With Reality
• Bloomberg(John Authers): Your Tariffs Are in the Mail, Sealed With a Diss
• 동아(사설): 삼성·LG ‘어닝 쇼크’ 속 트럼프 독촉장
• 동아(사설): “초단기 근로자도 고용보험 적용”… 문제는 ‘벼랑 끝’ 자영업자
• 동아(사설): 검찰 수사 조작 TF 띄운 與… 정치공세 아닌 증거로 따질 일
• 조선(사설): 알려진 것과 다른 복지장관 후보자 모습
• 조선(사설): 진의를 알기 힘든 대통령실 메시지
• 조선(사설): 결국 한미 정상회담으로 풀 수밖에 없는데
• 중앙(사설): 관세협상 3주 연장, 전략적 판단으로 최선 결과 도출을
• 중앙(사설): ‘표절 의혹’ 이진숙 후보자, 교육부 수장에 적합한가
• 문화(사설): 與 방송 3법 강행, 독립 내세운 영구 장악 의도 아닌가
• 문화(사설): 초단기 근로자도 실업급여, 더 고달픈 1000만 자영업
• 문화(사설): 美 25% 관세 통보…7월 말 정상회담 열어 최후 담판해야
• 국민(사설): 동맹에 던진 美 관세 폭탄, 3주간 총력 대응해 반전시켜야
• 국민(사설): 관세발 삼성·LG전자 실적 쇼크, 경쟁력 제고 서둘러야
• 국민(사설): 인천 맨홀 사고 같은 후진국형 산업재해 계속 방치할 건가
• 서울(사설): 군함도 유네스코 논의 무산… 日 약속 지켜 과거사 풀어야
• 서울(사설): 3주 유예 상호관세… ‘윈윈’될 수 있게 정상외교 총력을
• 서울(사설): 김 총리·의료계 첫 회동… ‘의료개혁 포기’는 아니어야
• 세계(사설): 美 관세폭탄 3주 유예… 내줄 것과 지킬 것 결단해야
• 세계(사설): 의혹 꼬리 무는 장관 후보자들, 요식행위 청문회 안 돼
• 세계(사설): 유네스코서 군함도 논의 무산, 외교 전략 부재 아닌가
• 한국(사설): 과거사 대응 한계 보여준 군함도 외교 실패
• 한국(사설): 트럼프 "한국 관세 25%"...실리 챙기기 총력전을
• 한국(사설): 여당의 이 대통령 재판 뒤집기 시도, 국민이 납득하겠나
• 한겨레(사설): 특검, 윤석열의 감사원 ‘돌격대장’ 유병호 수사하라
• 한겨레(사설): 트럼프 관세 서한 1차 타깃 한국, 3주 협상 총력전 펼쳐야
• 한겨레(사설): 역대급 폭염 온열질환 급증, 노동자 휴식권 보장 절실
• 경향(사설): 미 상호관세 25%, 3주 고위·정상 대화서 호혜적 출구 찾길
• 경향(사설): 30년 만의 고용보험 개편, 프리랜서·택배 가입 길도 넓혀야
• 경향(사설): 군함도 후속조치 거부한 일본, 한·일관계 개선 의지 있나
• 경향(이윤학): 위대한 코스피 5000을 위하여
• 매경(사설): 기업도시는 수도권에만, 지방도시는 '러스트벨트' 되는 현실
• 매경(사설): 삼성·LG전자 실적 쇼크 … 하반기가 더 걱정이다
• 매경(사설): 美 상호관세 부과 3주 유예 … 막판 총력전 펼칠 때
• 한경(사설): 李 대통령 "방산 컨트롤타워 신설"…정부·기업 한 몸으로 뛰어야
• 한경(사설): 쌀값 이상 급등은 양곡법發 나비효과…소비자들만 피해
• 한경(사설): 美 관세 25% 맞고선 경제 회생 기대하기 어렵다
• 서경(사설): 삼성·LG전자 어닝쇼크, 기술 혁신·시장 다변화 총력 지원할 때
• 서경(사설): ‘트럼프 관세’ 타깃 된 한국…정교한 윈윈 카드로 국익 지켜야
• 서경(사설): 국민 생활 밀접한 방송·검찰 개혁 법안, 여야 합의로 처리해야
• 파이낸셜뉴스(사설): 삼성 쇼크에 車·철강도 위태, 벼랑끝에 선 제조업
• 파이낸셜뉴스(사설): 3주 남은 관세협상 ‘최후의 결전’ 심정으로 임해야
• 헤럴드경제(사설): 고용보험 확대, 취지 살리되 재정·자영업자 고려해야
• 헤럴드경제(사설): 3주 번 美 관세, 협상력 배가해 국익 관철할 시간
• 이데일리(사설): 정부 세금 감면 수술에 정치권은 엇박자, 이래도 되나
• 이데일리(사설): 먹구름 가득 기업신용등급, 하반기가 더 걱정이다
No comments:
Post a Comment