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World]
• Markets: Investors Come Around to Trump’s Uncertainty
• International: Trump Amps Up Tariff Pressure, and EU Scrambles to Secure a Deal
• Middle East & Africa: China and Russia Keep Their Distance From Iran During Crisis
• Middle East & Africa: Hamas Accepts Gaza Cease-Fire Proposal With American Assurances Over Talks to End War
• Middle East & Africa: OPEC Plus Agrees to Pump More Oil in August
[Korea]
• 대통령실: 李대통령 “일부 집단 특권적 지위 해체해야”
• 대통령실: 李대통령, 주말에 국무회의 열어 31.8조 추경 의결
• 대통령실: 대통령실, 잇단 ‘어린이 화재 사망’ 대책 지시
• 대통령실: 李, 美-中-日 등 14개국에 특사 파견 추진
• 대통령실: 관세유예 종료 임박… 여한구 이어 위성락 美급파
• 국정기획위: 당정, 다자녀가구 카드공제 확대 검토
• 국정기획위: 한은 “스테이블코인 승인때 유관 기관 합의로”
• 국회: [오늘의 주요일정]국회(7월7일 월요일)
• 총리실: 김민석 총리 의료계 만난다 … 의정갈등 출구 모색
• 기재위(차규근): "한국은행 직원 122명 저리로 주택대출 46억원 받았다"
• 기재부: K국채, 새 정부 기대감에 런던서 역대급 흥행
• 조달청: SOC 투자 가뭄에 … 벼랑끝 내몰린 지역건설사
• 금융위: ‘코로나 빚탕감' 추가 필요예산만 4700억
• 금융위: 배드뱅크 재원 절반 전금융권서 부담…빚탕감 속도낼듯
• 금융위: [금융포커스] 제4인뱅에 드리워진 尹정권 루머
• 금융사: 막판 대출폭주 … 상반기 4대금융 순익 10조
• 산자위(김성원): 한성숙, 네이버 스톡옵션 6만주 행사… 39억 차익 예상
• 국토부: [단독] 수도권 6만 가구 공급대책 나온다
• 부동산시장: ‘6·27 대출규제’ 열흘… 거래-주담대 반토막
• 특검: [단독] 김용현의 자승자박
• 특검: ‘양평고속도 특혜 의혹’ 野 김선교 출국금지
• 특검: 김건희 특검팀 금융 당국 겨누나
• 고용부: [단독]尹정부때 없앤 사회적기업 발굴·육성 되살린다
• 통일부: [단독]정부, 표류 北주민 6명 이르면 주내 송환
• 행안위(양부남): 굳어지는 저성장…"韓 잠재성장률 올해 사상 처음 1%대로 하락"
• 교육위(김민전): 제자 성과 가로채기 의혹에, 논문 중복 게재…교육부 장관 후보자의 '연구윤리 리스크'
• 과기부: SKT ‘해킹 피해 고객에 위약금 면제’ 수용
• 국방위(부승찬): [단독] '무인기 북파' 합참에 보고?‥"합참 작전본부장 측에 알렸다"
• 국방위(부승찬): [단독] 드론사, 무인기 침투 작전 직후 무더기 '표창 파티'
• 저고위, 복지부: 올해 저출생·고령화 대응 사업에 100조 원 투입
• 국민연금: 사상최고 수익에도…국민연금 운용본부 성과급↓
• 여가위(조은희): [단독]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남편, 스톡옵션 1만주 재산신고 누락 의혹
[Opinions]
• WSJ(Editorial Board): The Trump Economic Uncertainty Principle
• WSJ(Editorial Board): No One is ‘Gutting’ the Safety Net
• NYT(Ross Douthat): Conservatives Are Prisoners of Their Own Tax Cuts
• FT(Editorial Board): The age of fiscal excess
• 동아(사설): “새벽 참모장” 자처 김민석, 브레이크 밟는 ‘국민 총리’ 돼야
• 동아(사설): 與 ‘자사주 소각’ ‘집중투표제’도 추진… 기업은 이미 ‘그로기’
• 동아(사설): 부모 집 비운 새 또 희생된 ‘나 홀로 어린이’
• 동아(사설): 의혹 해명은 청문회로 미루기… ‘하루만 버티면 통과’ 안 된다
• 동아(사설): 尹 뻔한 것조차 계속 부인… 다 아랫사람 잘못이라는 건지
• 동아(사설): 교수-전공의 개원 러시… 李 “가장 자신 없는 숙제” 시작할 때
• 조선(사설): 對中 서해 결의안 기권 의원들 이유 설명해야 한다
• 조선(사설): 교육장관 국세청장 후보자, 당장 의혹 해명하길
• 조선(사설): 李 “통합” 회견 하루 만에 反통합 행보
• 조선(사설): “서울대 10개보다 서울대보다 5배 좋은 대학 하나 만들어야”
• 조선(사설): 대통령이 “추가 탕감” 말하면 누가 빚 갚겠나
• 조선(사설): ‘안철수 혁신위‘ 국힘이 정상으로 돌아갈 마지막 기회
• 중앙(사설): 새 정부 출범 한 달, 도처에 외교·안보 시험대
• 중앙(사설): 의혹 후보자마다 해명은 않고 “청문회서 말하겠다”
• 중앙(사설): 피의자 된 공직자들, 권력 흑막 뒤 진상 밝혀야
• 문화(사설): 이진숙 교육장관 후보자 논문 의혹, 사실이면 범죄행위
• 문화(사설): “수사-기소 분리에 이견 없다” 李 회견과 4가지 의문
• 문화(사설): 한미 통상협상 난기류…베트남보다 낮은 관세 관철해야
• 국민(사설): 위약금 면제 조치 낳은 SKT 해킹사고
• 국민(사설): 안보실장 미국행, 관세 협상 진전과 정상회담 합의 이루길
• 국민(사설): 의혹 이어지는 이진숙 후보자… 교육 수장 자격 입증해야
• 국민(권지혜): 상법 개정, 끝이 아니다
• 서울(사설): 위성락·여한구 방미… 李 정부 안보·통상 역량 첫 시험대
• 서울(사설): 물가, 부동산, 규제 개혁… 2차 추경 후속 대책 시급하다
• 서울(사설): 심상찮은 장관 후보자들 의혹, 청문회 전 해명 필요하다
• 세계(사설): 소상공인 등 폐업자 100만명 첫 돌파, 구조개혁 병행하길
• 세계(사설): 이번 주 한·미 관세협상 중대 국면, 총력전 전개해야
• 세계(사설): 내란 특검 尹 구속영장 청구, 진상규명의 첫걸음
• 한국(사설): 민생 추경 여당 단독 처리… 협치는 말로만 되는 게 아니다
• 한국(사설): 집 지키던 아이들 잇단 화마 희생...생색내기 돌봄 대책 안 된다
• 한국(사설): 잇따른 연구 부정 의혹 이진숙… 교육 수장 자격 입증해야
• 한국(사설): 통상본부장 이어 안보실장 급파, 가시적 성과 거둬야
• 한국(사설): ‘빚 탕감’ 강조한 대통령... 성실한 채무자 의욕 꺾지 말길
• 한국(사설): ‘더 강한 상법’, 일단 지켜본 뒤 추진해도 되지 않겠나
• 한겨레(사설): 추경안 국회 통과, 민생 회복 마중물 되도록 신속히 집행해야
• 한겨레(사설): 강남 아파트 매수심리 두달 만에 하락, 공급 속도 높이고 수요 억제 계속해야
• 한겨레(사설): 추경에서 논란된 특활비, 투명성 강화로 나아가야
• 한겨레(사설): 대출규제로 집값 주춤, 흔들림없이 계속 밀고나가야
• 한겨레(사설): 안보실장 방미, 한-미 관계 ‘속도’보다 ‘방향’이 중요하다
• 경향(사설): 31.8조 민생 추경 신속 집행하고 특활비는 투명해져야
• 경향(사설): SKT 해킹, 3년 쉬쉬하고 늑장·부실 대응하다 사태 키웠다니
• 경향(사설): 자영업자 100만명 폐업, 민생회복 쿠폰이 회생 걸음 되길
• 경향(사설): ‘나홀로 어린이’들의 잇단 비극, 돌봄 사각지대 없애야
• 경향(사설): 구속 사유 차고 넘치는 윤석열, 법원은 반드시 영장 발부해야
• 매경(사설): 수입이 수출보다 더 줄어 … 찜찜한 경상수지 흑자 행진
• 매경(사설): 외국인 주택 매수때 '실거주 의무' 법안 일리있다
• 매경(사설): AI 수석 "AI 교과서, 계속 가야"… 與도 전향적 검토를
• 매경(사설): 관세협상 중대 고비 … 내줄 것과 지킬 것 냉정히 결단해야
• 매경(사설): 폐업자 100만명 첫 돌파 … 소비 쿠폰으론 대책 못 된다
• 매경(사설): 3기 신도시 속도낸다는 李, 실행이 관건
• 한경(사설): 국가 R&D 전권 쥘 과기부…AI 외에도 할 일 많다
• 한경(사설): 상법 개정도 벅찬데…집중투표제·감사위원 분리 선출까지 속도전
• 한경(사설): 총체적 부실이 빚은 SKT 해킹…정보 사업자들 무한책임 느껴야
• 한경(사설): 안보실장·통상본부장 급거 방미…李정부 중대 시험대 될 관세 협상
• 한경(사설): 7일부터 임시국회…민생 이름 단 '문제 법안' 밀어붙일 건가
• 한경(사설): 서울대 교수들마저…인구 감소보다 더 빠른 인재 유출
• 서경(사설): 부동산 공급 확대·수요 억제, 선제적 종합 처방 필요하다
• 서경(사설): 與 입법 속도전, 쟁점 법안 黨利보다 국민 편익 우선해 숙의하라
• 서경(사설): 2차 추경 통과, 물가 부작용 없이 경제 살리기 마중물 돼야
• 서경(사설): “채무 탕감이 형평성 맞아”…도덕적 해이 없게 엄정하게 추진해야
• 서경(사설): 한미 통상·안보 중요 국면, 윈윈 협상으로 국익 지킬 때다
• 서경(사설): 청년 취업 의지 약화, 기업의 좋은 일자리 창출이 해법
• 파이낸셜뉴스(사설): 경기진작 재정 효과, 추경 집행 속도와 시기에 달려
• 파이낸셜뉴스(사설): 기업 방어용 차등의결권·포이즌필 머뭇댈 이유 없어
• 헤럴드경제(사설): 20년째 생산성 제자리, ‘서비스산업법’ 서둘러야
• 헤럴드경제(사설): 16개월만에 韓성장률 전망치 상향…관세·집값이 고비
• 이데일리(사설): 美 ‘크고 아름다운 법안’ 시행, 날벼락 이대로 맞을 건가
• 이데일리(사설): AI 교과서 혼란 장기화...이제라도 국가교육위 나서야
No comments:
Post a Comment