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Markets]
※ Stocks drag despite tech giant gains
※ U.S. Sept PCE data declines in line with forecasts
※ Oil prices rise as Middle East conflict continues
※ 10-yr Treasury yields steady
※ Dollar index flat, yen intervention fears grow
[Indicators]
• US Sep. PCE price index: Inflation Trends Keep Fed Rate Hikes on Pause
• US Weekly Rig count: US monthly oil rig count rises for first time since Nov -Baker Hughes
• China Sep. Industrial profits: China Industrial Profits Rise Again as Growth Stabilizes
[World]
※ Israel said it was increasing ground raids and hitting Gaza with intense airstrikes, while Washington called for temporary halt in fighting to allow for hostage releases
※ Hot spots in the Middle East and South China Sea are on the agenda as China’s foreign minister visits Washington
[Korea]
• 대통령실: 지방이전 수도권 기업 보조금 2배로 받는다
• 대통령실: 지자체, 국장급 기구 재량껏 설치 가능
• 대통령실: 보수의 심장 TK서 '지방시대' 외친 尹
• 대통령실: "수도권 집 팔고 특구내 집 사면 양도세 비과세"
• 대통령실: 중동순방 성과에 尹지지율 3%P 반등
• 대통령실: 육해공 대장 7명 전원 17개월만에 다시 교체
• 대통령실: 尹, 이태원 추모 예배 “안전 대한민국 힘쓸 것”
• 대통령실: 국회 시정연설서 尹·李 대화 물꼬 트나
• 부처합동: [단독] 오는 1일 범부처 물가대책 발표 예정
• 당정: 소상공인 코로나 지원금 환수 '백지화'
• 국회: [오늘의 국회일정](30일·월)
• 예정처: [단독] "6조 부족"…내년에도 '세수펑크' 비상
• 민주당: 비명계 “통합하려면 조정식 사무총장 교체해야”
• 민주당: 野 “전현희 표적감사 논란 감사원 국정조사 추진”
• 민주당: 한일 성장률 역전도 한미일 동맹 탓이라는 文
• 국민의힘: 인요한 “TK·PK 스타 의원 서울서 출마해야”
• 국민의힘: 낙동강 세력·쓴 약…"인요한, 화법은 이미 정치인"
• 국민의힘: '김기현 총선 체제' 흔든 인요한…尹心 실렸나
• 국민의힘: 혁신위가 띄운 서울 출마론… 與일부 “김기현, 결단해야”
• 정무위: 주식 공매도 한시적 금지 검토
• 정무위(윤창현): 금감원 올 63명 짐쌌다… 자발적 퇴사자 3년새 2배 ‘껑충’
• 금융위: 은행 부담금 형태 '횡재세' 윤곽
• 금융위: 서민대출에 비용전가 '불똥' 튈 우려도
• 금융위, 금감원: 은행권 초과이익 환수설에 당황한 금융권…"금감원장 런던 IR 때랑 말 다르다"
• 금감원: 호반·하림 '밀월'…CP도 수백억 사줬다[시그널]
• 금감원: '대기업 지정 감사인' 휩쓴 삼일·한영
• 산은: 대한항공·아시아나 합병에 묻는다
• 은행연합회: 차기 은행연합회장은 누구…이번엔 '민간 출신' 나올까
• 금융시장: '빚투'한 개미들 어쩌나…"내년이 더 어렵다" 날벼락
• 금융시장: CP금리 연일 치솟아… 기업 자금난 우려
• 금융시장: 금리 치솟자 …'채권 공매도' 3개월새 10조 늘었다
• 금융시장: 깐깐해진 기업대출 심사…회사채 금리도 반영
• 금융시장: 오르락내리락… 지방은행 자금안정성 온도차
• 금융시장: "장기 고정금리 주담대, 통화정책 전달 경로 약화할 수도"
• 금융시장: "대기업 벤처투자 풀어야 혁신동력 마련"
• 금융사: 유명순 씨티은행장 연임 확정
• 금융사: 남북 경색에도 우리銀 임시 개성지점은 '영업 중'
• 기재위: 추경호 "금리상승에 올해 국채이자 25조"
• 기재위: 예산철 조세특례법 홍수 내용 보면 정부안 '복붙'
• 기재위(진선미): 빚 탕감 경력자의 재파산 신청 6개월간 740건… 해마다 증가
• 기재위(홍성국): [단독] 치킨집서 결제했는데 영수증엔 ‘꽃집’?···위장가맹점 5년간 8000건 적발
• 통계청: 대졸이상 ‘시간제 근로자’ 역대 최대 115만명
• 거시경제: IMF “한국 나랏빚 줄이기 모범적… 가계빚은 우려”
• 공정위: 공정위, 승인 재검토 '만지작'
• 산자위(김회재): 상위 1% 근로소득자 77%가 수도권 직장…연평균 3억2천만원 벌어
• 산자위(한무경): [단독] 가중값 손댔나…文통계청도 '소상공인 통계' 조작 의혹
• 산업부: 산업장관 "2차전지 공급망 13조 투자"
• 산업부, 기재부: 정치가 된 전기요금…4분기 요금인상 한달째 미뤄
• 경제단체: 재계 “野 노란봉투법 강행땐 산업 생태계 붕괴”
• 비금융사: K반도체 위협 '美日 낸드연합' 불발
• 비금융사: 현대차·기아 합산 영업익 사상 첫 연 20조원 돌파
• 비금융사: 탈탄소 압박에…철강 빅3 '스크랩 전쟁'
• 비금융사: 카카오, 속도 높이던 해외M&A '일시 멈춤'
• 비금융사: 식당 맥주 한 병 8000원… 소주값도 들썩
• 부동산시장: 특례보금자리론 제한에 6억이하 아파트 거래 늘어
• 환노위(이주환): [단독] 물난리 후…日·中은 인프라 보완, 한국은 손놨다
• 환노위(임이자): 野 노조법 강행 예고에 … 與 "끝장 TV토론 하자"
• 노동시장: 건설현장에도 식당에도... 일할 사람이 없다
• 외통위: 통일장관 “김주애, 北 후계자 가능성 배제 못해”
• 외교부: [단독]혈세 낭비 ODA…중단·부실·실패 ‘수두룩’
• 행안위(이만희): 시끄러운 ‘1인 시위’ … 집시법 고쳐 규제 나선다
• 인사혁신처: 취업문 더 좁아지니…돌아온 고시 열풍
• 새마을금고: 박차훈 새마을금고중앙회장 사임…연내 ‘첫 직선제’ 보궐 선거
• 경찰: "PC 복구해드려요" 北해커와 한패였다
• 경찰: 이선균·지드래곤 출금 경찰, 마약 수사 속도
• 법사위(권칠승): [단독]'한국형 제시카법' 보고서엔 "학교 200m내 거주 금지"
• 법무부: 보험사 '배당 쇼크' 막는다
• 법원: 이재명 없는 이재명 재판
• 공수처: 공수처 수사 부장검사 3명 전원 대검 중수부 출신
• 교육부: 전국 의대 3분의2 이상 ‘정원 확대’ 요구할 듯
• 과방위: 항우연·천문연, 우주청 직속기관 된다
• 과방위(박성중): [단독] 이재명, 2배 느린 선거법 재판?
• 과방위(정필모): 구글, 영문으로 제출…메타 "간섭 말라"
• 문체위(이상헌): [단독] 법적 근거 없는 '호텔 봉사료' 여전히 부과…정부는 '뒷북 대책'
• 복지부:1년 논의 끝에 '알맹이' 빠진 연금개혁안
• 서울시: 핼러윈 1년, 선을 지켰다
• 서울시: '과잉 수주전' 단속 강화…서울시 개입이 변수로
• 도봉구: 도봉화학부대 이전부지 그린벨트 해제 검토
[Opinions]
• Project Syndicate(Harold James): War and Dollars
• WSJ(Editorial Board): Hamas Puts Its Pogrom on Video
• WSJ(Editorial Board): A Weak Response to Iran’s Attacks
• WSJ(Editorial Board): If It Moves, the SEC Regulates It
• WSJ(Joseph C. Sternberg): The Chinese Financial Crisis Nobody’s Talking About
• WSJ(Allysia Finley): Brace for the Wind and Electric-Vehicle Bailouts
• NYT(Bonnie S. Glaser): No, Xi Jinping Is Not About to Attack Taiwan
• FT(Editorial Board): Governments need to become more productive
• FT(Gita Gopinath): The temptation to finance all spending through debt must be resisted
• FT(Martin Wolf): Regional policy must be at the heart of any sensible strategy for growth
• FT(Katie Martin): Cracks in the credit market are starting to widen
• Bloomberg(David Fickling): EVs: A Two-Speed Market Is Heading for a Crash
• Bloomberg(Allison Schrager): Why No Recession Yet? Thank the US Consumer
• Bloomberg(Karl W. Smith): The US Needs More Housing. Americans Don’t Want to Build It.
• Bloomberg(Ramesh Ponnuru): Why Americans still don’t like Biden’s economy
• Bloomberg(Mihir Sharma): India Is Pushing the World Toward Another Rice Crisis
• 매경(사설): 이태원 1주기 추모행사, 정치집회로 변질 안된다
• 매경(사설): 새마을금고 첫 회장 직선제, 자산 300조 걸맞은 투명경영 계기로
• 매경(사설): 국민연금 손 안 대고 기초연금 퍼주는 게 개혁인가
• 매경(사설): 은행에 횡재세, 자유시장 경제에 맞게 신중한 접근을
• 매경(사설): 영남 의원 수도권 출마 내건 인요한, 이게 공천 혁신이다
• 매경(사설): 청소년이 뭘 보고 배우겠나 … 마약 연예인 방송 영구 퇴출 시켜야
• 매경(김세완): 부동산 편중된 가계자산 구조 바뀔까
• 매경(신헌철): 국민의힘은 왜 총선에서 지는가
• 한경(사설): 마약수사가 정권의 기획? 안민석의 '아니면 말고' 음모론
• 한경(사설): 테크전쟁 한복판에서 취임 1년 맞은 이재용…어제도 법원行
• 한경(사설): 정부와 국회의 연금개혁 핑퐁…미래 세대에 부끄럽지 않나
• 한경(사설): 가자지구 지상전 돌입…'3차 오일쇼크' 최악 시나리오 대비를
• 한경(사설): 막 오르는 예산 심사, 퍼주기·흥정할 거면 안 하느니 못하다
• 한경(사설): 전기차 수요 둔화 먹구름…경쟁사 멈칫할 때가 더 큰 기회
• 한경(강경주): 중국 업체에 조용히 잠식되는 'K배터리 생태계'
• 서경(사설): 알맹이 빠진 연금 개혁안…‘3대 개혁’ 의지가 있는 건가
• 서경(사설): ‘정권 기획 마약 수사’ 주장하는 野, 이번엔 음모론으로 선동하나
• 서경(사설): ‘손발 묶인’ 軍 포 싣고 600㎞ 원정훈련…9·19 합의 재검토해야
• 서경(사설): IMF도 우려한 가계부채, 선제적 리스크 관리 절실하다
• 서경(사설): 시간제 대졸 역대 최대…기업 활력 제고로 질 좋은 일자리 만들라
• 서경(사설): “北 억압해야 하나” 野, 압도적 힘이 평화 지킨다는 점 새겨야
• 조선(사설): 40분 만에 배달되는 마약 천지를 정권이 기획했다는 건가
• 조선(사설): 숫자 뺀 맹탕 국민연금 개혁안, 이러고 文 정부 비판할 수 있나
• 조선(사설): 대통령이 국민 희생 추모하는데 정쟁이 끼어들 수 없다
• 조선(사설): 연금 개혁 추진하면 선거에 불리할 것이란 착각
• 조선(사설): 해안포 열고 ‘남반부 점령’ 외치는데 “북 억압 말라”니
• 조선(사설): 핼러윈 방지법 표류, 국민 의식 그대로인데 여야는 정쟁만
• 조선비즈(김참): 먹고살 만하다는 착각
• 중앙(사설): 구체안 없는 ‘맹탕 연금개혁안’ 실망스럽다
• 중앙(사설): 159명 희생된 이태원 참사, 그 1년 뒤 무엇이 변했는가
• 중앙(사설): “외환위기의 몇십배” 비서실장의 뒤늦은 가계부채 경고
• 동아(사설): 의사가 마약 공급, 대학街엔 버젓이 광고물까지
• 동아(사설): 감사대상에 ‘쓰레기’ ‘걸레’ 지칭한 감사원 총장의 업무 지침
• 동아(사설): ‘맹탕’ 연금개혁안 국회로 던진 정부, 개혁 의지는 있나
• 동아(사설): 내부서도 “C학점 안돼”… 그런 연금개혁안 더 후퇴시킨 정부
• 동아(사설): “곧 인구 5%가 외국인”… 우리도 ‘다인종·다문화 국가’ 진입
• 동아(사설): 이태원 참사 추모대회, 당 이름으로는 참석 피한 여권
• 문화(사설): 美 고성장 따른 고금리 장기화… 외국 자본 이탈 경계할 때
• 문화(사설): 너무 늦은 大法 ‘박유하 무죄’, 친일 몰이 종식 계기 돼야
• 문화(사설): 오염수 괴담 이어 마약 수사 음모론 펴는 민주당 고질병
• 한국(사설): 단일안 기대 저버린 연금개혁안··· 개혁의지는 말뿐이었나
• 한국(사설): 이태원 참사 피의자 서울청장 유임, 이게 1주기 메시지인가
• 한국(사설): 이재명 대표, 강성지지자 난동에 특단의 조치 나서라
• 한국(사설): 양평고속도 자료 누락 실수라더니 "지시"... 뭘 감추려 한 건가
• 한국(사설): 아쉬움 큰 尹대통령 이태원 참사 추도
• 한국(사설): 11월 미중 정상회담 합의… 상호 오판 줄이고, 충돌 완화 계기로
• 국민(사설): 정부 국민연금 개혁안, 알맹이가 빠졌다
• 국민(사설): 이태원 참사 1년, 여야 따로 반쪽 추모행사 아쉽다
• 국민(사설): 맹탕 국감 자화자찬한 민주당… 예산국회도 걱정된다
• 서울(사설): 자영업자에 단비 될 재난지원금 환수 백지화
• 서울(사설): 참사 1주기, 어떤 명분의 정쟁도 국민 용납 못할 것
• 서울(사설): 의사 소득 2억 7천, 이래서 의대 증원 반대하나
• 세계(사설): 숫자 없는 ‘맹탕’ 연금개혁안, 이러고 국민 신뢰 얻겠나
• 세계(사설): 불법 공매도 근절하려면 후진적 수기 작성부터 개선해야
• 세계(사설): ‘통합’ 외치곤 친명 지도부 강화한 李의 ‘말 따로 행동 따로’
• 세계(사설): 이태원 참사 1주기 추도식도 하나가 되지 못한 현실
• 세계(이종규): 소비 부진에 관한 단상
• 한겨레(사설): ‘윗선 책임 차단’ 사활 건 검찰, 무책임·무성의만 확인한 이태원 참사 1년
• 한겨레(사설): ‘얼마 내고 받을지’ 쏙 빼놓은 무책임한 윤 정부 연금개혁안
• 한겨레(사설): 사실로 드러난 ‘전현희 감사 쿠데타’, 국정조사해야
• 한겨레(사설): 세계 여론 외면한 이스라엘의 가자지구 지상전 돌입
• 한겨레(사설): ‘정부의 부재’ 상징한 이태원 참사 1주기 추모대회
• 경향(사설): 대구·경북 ‘발암 위험 수돗물’, 4대강 영향 아닌가
• 경향(사설): 국정과제라더니, 끝내 핵심 빠진 연금개혁안
• 경향(사설): 아무도 책임 안 진 이태원 참사 1년, 이런 정부 없었
• 경향(사설): 이태원 추도식 빠진 대통령·김기현·이상민의 독단과 협량
• 경향(사설): 여가부 예산 삭감에 청소년 사업 90% 중단 위기라니
• 경향(사설): 이스라엘 가자 지상전 돌입, 민간인 희생·확전 막아야
• 파이낸셜뉴스(사설): 가계부채 뇌관 터지기 전에 안전망 구축 나서라
• 파이낸셜뉴스(사설): 확산일로 럼피스킨병, 구제역 악몽 되풀이 않게
• 헤럴드경제(사설): 이자도 못 번 한계기업 역대최대, 기촉법 부활 서둘러야
• 아시아경제(남승률): 땅에 떨어진 자본시장의 신뢰
• 아시아경제(강희종): "韓영향 제한적"이란 말만 반복할 것인가
• 이데일리(사설): 이태원 참사 1년...재난안전법, 소리만 요란했다
• 이데일리(사설): '아니면 말고식' 폭로에 중독, 巨野의 무책임
• 이데일리(윤정훈): 대통령의 이태원 추모식 참석, 그렇게 어려운 일인가
• 이데일리(송홍선): 소득대체율 딜레마, '다층연금'으로 풀어야
• 이데일리(김영수): 비상구 없는 아시아나항공
• 디지털타임스(사설): 가계부채 엄중한데 언제까지 땜질 처방만 되풀이할 텐가
• 전자신문(사설): R&D예산 복원, 여당도 나서야
• 연합(시론): '숫자' 빠진 정부 연금개혁안, 무책임한 것 아닌가
• 연합(시론): 인요한 혁신위 출범, 좌고우면 말고 기득권에 메스 대야
• 연합(시론): '포스트 국감'은 협치 시험대…보여주기식으론 안된다
• 연합(시론): 엑스포 결정 D-30, '부산 유치' 민관 총력전을
No comments:
Post a Comment