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World]
• Middle East & Africa: Israel Attacks Hamas Senior Leadership in Doha, Qatar
[Korea]
• 대통령실: 李대통령 “노조원 자녀 특채 요구는 불공정의 대명사”
• 대통령실: 신설 인사수석에 조성주, 국민통합위원장 이석연
• 대통령실: ‘檢개혁 파열음' 진화나선 용산
• 대통령실: 李대통령, ‘금거북이’ 이배용 국교위원장 사표 수리
• 국회: [오늘의 국회일정] (10일, 수)
• 민주당: 與, 상법 과속 우려에…"야구로 치면 이제 3회"
• 국민의힘: 기업지원법 꺼내든 국힘, 여당발 反시장법에 맞불
• 혁신당: 성 비위 파문 속… “비대위원장에 조국 추천”
• 총리실: 김민석 총리 “검사 보완수사권 열어놓고 논의 가능”
• 기재위: 여야 '공운법' 이견…기재위 소위 처리 불발
• 기재위: 전자담배 규제 이번에는… ‘합성니코틴도 담배’ 논의
• 기재위(차규근): [단독] 갈수록 늘어나는 자발적 퇴사자… ‘신의 직장’ 한국은행 위상 어디로
• 거시경제: 한국 月수출액, ‘AI 붐’ 대만에 첫 추월 당해
• 금융위: 산은 회장 박상진 내정… 사상 첫 내부출신 발탁
• 비금융사: [단독]멈춰선 ‘대미투자 상징’, 주인 잃은 車들만 가득
• 국토위(한병도): [단독] '국회 담벼락 방치'가 진실?‥CCTV엔 담장 안팎 두 겹 배치된 경찰 찍혀
• 법사위(박은정): [단독] 윤석열 "잘 지내는구만"…구치소 밀반입 폰으로 '반려견 영상' 봤다
• 외교부: [단독] “35명 합법 비자에도 구금됐다”
• 행안위(윤건영): [단독] 윤 부부 떠난 뒤에도…텅 빈 '코바나 사무실' 경호처가 왜?
• 방통위: 광고에 의원 파는 유튜버… 알고도 출연하는 정치인
• 국방위(김병기): ‘김병기 원내대표 구의원 사적 동원' 물증 ‘카톡 메시지’ 입수
• 복지위(박주민): 강연료에 비즈니스티켓, 5성 호텔까지', 모스 탄에 약속했던 세금
[Opinions]
• Project Syndicate(Barry Eichengreen): Why Are Financial Markets Shrugging at Trump’s War on the Fed?
• Project Syndicate(Jean-Pierre Landau): France’s Manufactured Debt and Government Drama
• Project Syndicate(Camila Villard Duran): The US Tightens the Dollar’s Death Grip on Brazilian Democracy
• WSJ(Editorial Board): Job Revisions and the Trump Economy
• WSJ(Holman W. Jenkins, Jr.): Trump Chaos and the Hyundai Raid
• WSJ(Karen Elliott House): Will South Korea Want a Nuclear Weapon of Its Own?
• WSJ(Nimrod Sapir): Israel’s Surprising Economic Resilience
• FT(Editorial Board): America’s draconian immigration raids
• Bloomberg(Jonathan Levin): The Big BLS Revision Isn’t a Conspiracy
• Bloomberg(Daniel Moss): Prabowo Is Testing Investors’ Trust With His Finance Plan
• Bloomberg(Andy Mukherjee): India Needed Tax Reform. It Got a New Rate Card
• 동아(사설): 美 “훨씬 더 많이 단속 나설 것”… 제2 ‘조지아 구금 사태’ 막아야
• 동아(사설): ‘매뉴얼 지옥’이 된 학교… 짓눌린 교사들, 실종된 현장교육
• 동아(사설): ‘장기 검토’ 딱지 붙여놓고 마냥 뭉개는 中企 규제만 1444건
• 조선(사설): 정 대표는 정말 ‘여의도 대통령’인가
• 조선(사설): ‘가짜 뉴스 징벌법’ 대상에서 김어준 제외해주나
• 조선(사설): 선거 9개월 앞두고 野 시도지사 절반을 수사한다니
• 중앙(사설): 구금 근로자 귀국이 문제의 끝 아니다
• 중앙(사설): 협치 기대 하루 만에 찬물 끼얹은 정청래 대표
• 문화(사설): 기자단에 김어준 유튜브 넣더니 ‘징벌’ 뺀다는 코미디
• 문화(사설): 긴축 추진 佛 내각 또 붕괴…재정 포퓰리즘 남의 일 아니다
• 문화(사설): “내란재판부 설치는 尹 계엄과 같다” 與 의원의 바른말
• 국민(사설): 대학 진학률 1위의 이면… 낙제 수준인 고등교육 투자
• 국민(사설): 강성 여론몰이에 맞선 박희승, 곽상언 의원의 용기
• 국민(사설): 野와 악수한 다음날 ‘野 해산’ 말한 與 대표
• 서울(사설): OECD 밑도는 공교육비… 대학경쟁력 높일 지렛대 있어야
• 서울(사설): 野와 악수 다음날 “내란 청산”… 정 대표, 협치 끈 놓지 말길
• 서울(사설): 권력비판 봉쇄 ‘징벌적 배상’, 쏟아지는 우려 새겨들어야
• 세계(사설): 이번엔 KT 소액결제 피해, 해킹 막을 근본 대책 세워야
• 세계(사설): 중·러 뒷배 삼은 김정은 핵 무력 위협, 철저히 대비하길
• 세계(사설): 협치 약속 하루 만에 야당 해산 겁박한 與 대표
• 한국(사설): 정치복원 악수 하루 만에 '국민의힘 해산' 운운한 정청래
• 한국(사설): 尹 내란재판 속도 내고, 특별재판부 논의 접어야
• 한국(사설): 정부 "자진 출국", 美 장관 "추방"...외교 작동되고 있나
• 한겨레(사설): 관세 후속협상, 속도 내되 일본처럼 돼선 안된다
• 한겨레(사설): 정청래 대표 국회 연설, 내란청산·민생회복 같이 가야
• 한겨레(사설): 혈연·혼인 관계없이 다양한 가족의 권리 보장 필요
• 경향(사설): 기후위기 시대, 명실상부한 ‘환경 중시 국정’ 펴가야
• 경향(사설): KT 소액결제 해킹·건보공단 정보 노출, 적극 대처해야
• 경향(사설): 권성동 체포동의안, ‘종교계 선거 개입’ 단죄 계기로
• 경향(이창민): 잠재성장률 갉아먹는 재벌 총수들
• 경향(박동흠): 대주주 기준 강화 이어 PBR ‘실책’…불난 집에 기름 붓는 기재부
• 매경(사설): "내란재판부, 尹계엄과 같다"는 與 의원 지적 귀 기울여야
• 매경(사설): 긴축 호소한 佛 총리 불신임…재정중독 이렇게 무섭다
• 한경(사설): 與, '검찰·사법·언론 무소불위' 비판 앞서 입법 독주도 돌아봐야
• 한경(사설): 노조법 이어 60%대 온실가스 감축까지, 기업들 숨막혀 죽는다
• 한경(사설): "한 번 늘린 복지 지출은 못 줄인다"…佛 내각 붕괴의 교훈
• 서경(사설): “로봇 생산 국내로” 노란봉투법 勞횡포 점입가경
• 서경(사설): “내란 정당 해산” 악수 하루 만에 ‘협치’ 걷어찬 與대표
• 서경(사설): 美구금 사태도 관세 후속협의도 관건은 ‘악마의 디테일’
• 파이낸셜뉴스(사설): 재생에너지 확대 필요하나 급진, 과속은 경계를
• 파이낸셜뉴스(사설): 여당·재계 잇단 회동, 메아리 없다면 무의미
• 헤럴드경제(사설): 구직자당 0.44 일자리…결국 기업 활력 높여야
• 헤럴드경제(사설): ‘구금사태’ 수습 국면, 美 파견 합법 경로 공고화 큰 숙제
• 이데일리(사설): 매년 56곳씩 늘어나는 公기관...뒷감당은 누가 하나
• 이데일리(사설): 2051년 물가 압력 2배...한은 극한 기상 보고서 주목해야
No comments:
Post a Comment