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World]
[Korea]
• 대통령실: 李-여야 대표 첫 회동… “민생경제협의체 구성”
• 국회: [오늘의 주요일정]국회(9월9일 화요일)
• 민주당: 민주당, 유튜브는 징벌적 손해배상 언론중재법서 제외
• 기재위(정태호): [단독] 조폐공사, 8년간 33억원치 수의계약하면서 심의는 '0건'
• 기재위(천하람): [단독]단속 피하려 간판없이 코인 환전… 외환범죄 절반이 ‘코인’
• 기재부: 예산처 승격 예산실, 국장급 대폭 물갈이
• 한전, 한수원: [단독] 원전 노예계약 논란…이사회 참석자 "더 높은 곳에서 합의됐다 인식"
• 노동부: 구직자 1명당 일자리 0.44개… 외환위기후 최저
• 국방위(김병기): [타파스] 김병기의 '꼬·꼬·무' 아빠 찬스 의혹... 그는 왜 질문에 침묵했나
• 복지위(박희승): 민주당 내 '내란 특별재판부 설치' 비판... 박희승 "尹 계엄과 똑같아"
• 강릉시: 강릉시, ‘수질 논란’ 평창 도암댐 물 활용 재검토
[Opinions]
• Project Syndicate(Erin Lockwood): Why Are Markets Ignoring the Obvious About America?
• Project Syndicate(Moreno Bertoldi, Marco Buti): Europe Must Use Its Economic “Bazooka” Against the US
• WSJ(Editorial Board): Who Can Save France Now?
• WSJ(Editorial Board): Trump’s Auto Tax Starts to Bite
• FT(Ruchir Sharma): Why the Fed should not cut rates now
• Bloomberg(Nia-Malika Henderson): It’s Too Late for the GOP to Rebrand Its ‘Big, Beautiful Bill’
• 동아(사설): 구직자 1명당 일자리 0.44개… 대책 없는 게 더 문제
• 동아(사설): 권력 비판 재갈 물리는 ‘징벌적 손해배상’ 입법 멈추라
• 동아(사설): 李-여야 대표 민생협의체 합의… 항상 그랬듯이 실천이 관건
• 동아(박종길): 퇴직연금 제도, 환골탈태 필요
• 조선(사설): 한국이 신생 독립국 된 듯한 민주당 정부 개편 독주
• 조선(사설): 4억 재산 의원의 10억 주식 거래, 이 사람뿐일까
• 조선(사설): ‘대법관 26명으로 증원’ 대법원 장악용 아닌가
• 중앙(사설): 모처럼 반가운 여야 회동, ‘악수 쇼’로 끝나선 안 돼
• 중앙(사설): 18년 만의 예산처, 포퓰리즘 통로 돼선 곤란
• 문화(사설): 빚투성이 LH 주도 9·7 주택 대책, 실효성 높이는 게 관건
• 문화(사설): 정부조직 개편 3大 리스크…피해는 국민에게 돌아갈 것
• 문화(사설): 美 비자 문제 해결 안 되면 대미 투자 이행 불가능하다
• 국민(사설): 대통령·여야 대표 회동, 협치 실천해 대결 정치 끝내길
• 국민(사설): ‘사탐런’ 역대 최고치… 입시와 교육과정 재검토해야
• 국민(사설): 에너지 규제하는 환경부가 에너지 진흥까지 할 수 있겠나
• 서울(사설): 머리 맞댄 李·여야 대표, 그 약속 절반이라도 꼭 지켜 주길
• 서울(사설): 비자 줄 테니 기술 달라는 美… 정부 대응 역량 갈수록 절실
• 서울(사설): 적자성 채무 매년 110조… 미래세대 빚 줄일 방책도 내놔야
• 세계(사설): ‘포스트 이시바’ 한·일 안갯속… 한·미·일 연대 영향 없기를
• 세계(사설): 트럼프 전향적 발언, 비자 애로 해소 계기로 삼아야
• 세계(사설): 李 대통령·張 대표 첫 단독회담, 협치 마중물 기대
• 한국(사설): 첫발 뗀 정치 복원, 상호 존중이 국정 성과 지름길
• 한국(사설): 78년 만 검찰청 해체, ‘또 다른 괴물’ 낳지 않도록
• 한국(사설): 미국인 고용해 훈련시키라는 트럼프의 일방주의
• 한겨레(사설): 손잡은 이 대통령과 여야 대표, ‘정치복원’ 지켜나가길
• 한겨레(사설): 미국, 투자받으려면 비자 확대 등 제도부터 마련하라
• 한겨레(사설): 이시바 일 총리 사임, ‘극우 인사’ 선출만은 피하길
• 경향(사설): 이 대통령·여야 ‘민생경제협의체’ 합의, 정치 복원 시작이길
• 경향(사설): 트럼프 ‘구금 사태’ 해결 시사, 한국인 비자 확대 제도화해야
• 경향(사설): 내란의 밤, ‘조태용 국정원’ 계엄 공모 의혹 철저히 밝히라
• 경향(주은선): 미래를 전망한다는 것
• 매경(사설): 대통령·여야대표 첫 회동, 협치·민생 출발점 돼야
• 매경(사설): 구직자당 일자리 외환위기 수준…고용 정책이 안보인다
• 매경(사설): 트럼프 "배터리·조선 전문가 부를 것"… 비자 문제 정상화 계기로
• 한경(사설): 美 비자 문제 이 지경될 때까지 외교부는 뭐했나
• 한경(사설): 근로자 구금 사태가 일깨운 미국 일변도 투자 리스크
• 한경(사설): ‘공대 홀대·의대 광풍' 해소할 사회적 기구라도 만들라
• 서경(사설): 원전 건설 환경부에…‘탈원전 시즌2’ 자충수 우려 커진다
• 서경(사설): 美 “기업 이민 단속 확대” 특별비자 쿼터 담판 서둘러야
• 서경(사설): 여야정 ‘민생경제협의체’ 합의, 다시는 막말·고성 없기를
• 파이낸셜뉴스(사설): 한국인 구금사태 계기로 대미투자 환경 바꿔야
• 파이낸셜뉴스(사설): 주 4.5일제·정년연장, 기업 실정 살피며 과속 말길
• 헤럴드경제(사설): 예산처-재경부 분리, 재정건전성 왜곡 우려 불식해야
• 헤럴드경제(사설): 연 27만 가구 공급, 민간 활성화도 병행해야 효과
• 이데일리(사설): 총리 아래 예산처 신설, 부작용 막을 보완 필요하다
• 이데일리(사설): 대미 기업 활동 걸림돌 비자 문제, 속히 매듭지어야
No comments:
Post a Comment