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World]
• International: U.S. Allies Still Waiting for Tariff Relief on Autos and Steel
• Business: Google Is Beating Apple on Smartphone AI
[Korea]
• 대통령실: 韓기업 지분 달라는 美… 돌발요구 대비 나선 韓
• 대통령실: 李대통령-與지도부, 추석 전 ‘검찰청 폐지’ 법안 처리키로
• 대통령실: 정책실장 “부동산 정책에 세금 절대 안쓴다는건 오산”
• 대통령실: [단독]당정협의한다던 대통령실, ‘대주주10억’ 與에 통보
• 국정기획위: 국정위 “국정과제 이행 210조중 ‘기본사회’에 58조 투입”
• 당정: 당정 “과도한 규제 경제 형벌 합리화”
• 국회: 우원식 의장, 中 전승절 초청받아
• 국회: [오늘의 주요일정]국회(8월21일 목요일)
• 기재위(권영세): 예산정책처 “18조 줄어든 법인세수, 尹 정부 세율 인하 영향은 3조뿐"
• 기재위(김영환): 與 특위 “정년 65세 연장, 재정·조세지원 정교하게 설계해야”
• 기재부 등: 석유화학 구조조정… “NCC 생산 최대 25% 감축”
• 기재부: 구윤철 ‘코스피 PBR 10’ 발언에 개미들 부글
• 기재부: 정부, 중대재해 기업 공공입찰 막는다
• 기재부: [단독]정부 재정준칙서 '관리재정수지' 빠지나
• 경제학계: “고령 노동자 낮은 생산성, 한국 경제성장 둔화 주요인”
• 금융위: 324만명 신용사면, 이르면 내달 30일부터
• 산업부: [단독] 트럼프에 209조 기업 투자 보따리 푼다
• 법무부: 법무부, 이르면 21일 검찰 중간간부 인사
• 새마을금고: [단독] 새마을금고, 받지도 않은 이자로 수익 부풀려 공시
• 농해수위(전종덕): [단독] 국민연금공단, 연금개혁 와중 "노후 보장 강화" 보고서 영구 비공개
• 복지위(김미애): 아동수당 매년 1세씩 올려 지급하면 5년간 국비 13조3천억 소요
• 국민연금: 달러 강세에 국민연금 웃었다
• 서울시: 서울시, 보증금 떼인 청년안심주택 세입자 구제한다
[Opinions]
• Project Syndicate(Desmond Lachman): A Stock-Market Crash Foretold
• WSJ(Elizabeth Warren): ‘The Central Bank Apprentice’
• NYT(Jeff Goodell): The New American Inequality: The Cooled vs. the Cooked
• WP(Andres Clarens): The future of home-building is here. And we’re behind.
• FT(Editorial Board): What central bankers must tackle at Jackson Hole
• Bloomberg(Daniel Moss): Vietnam’s Next Big Challenge Is All About Money
• Bloomberg(Justin Fox): BLS Reported a Boom in US-Born Employees. It’s Not Real.
• Bloomberg(John Authers): Powell’s Last Stand at Jackson Hole
• 동아(사설): 美 “보조금 주고 삼성전자 지분 취득 검토”… 넘어선 안 될 선
• 동아(사설): 與, 입법으로 ‘尹 알박기’ 물갈이… 더 급한 건 ‘낙하산 방지법’
• 동아(사설): 북미·유럽 원전 진출 포기… 계약 경위 철저히 규명해야
• 조선(사설): 北 인권보고서가 어떻게 비밀이 되나
• 조선(사설): “노란봉투법은 선진국 수준 맞추기” 사실 아니다
• 조선(사설): 원전 수출 큰 기회 열릴 수도, 정치적 논란 없어야
• 중앙(사설): 만시지탄 석유화학 구조조정, 다른 산업은 해당 없나
• 중앙(사설): 가짜뉴스 유튜버 유죄 당연…언론 보도 위축은 경계해야
• 문화(사설): 大法의 김용 보석 허용, 與의 파기환송 요구와 무관한가
• 문화(사설): 공기업 코레일의 중대재해 사고와 처벌 만능주의 한계
• 문화(사설): 李 “선진국 수준 맞춰야”… 글로벌 기업들 반대도 안 들리나
• 국민(사설): ‘산업재해와의 전쟁’ 선언 무색케 한 코레일 사망 사고
• 국민(사설): 남북 관계 개선 위해선 북한의 말투부터 교정케 해야
• 서울(사설): 檢 개혁 속도 조절론… 與, 다른 쟁점 법안도 더 숙의하길
• 서울(사설): 또 후진적 철도 산재… 무관용 처벌만으로는 못 막는다
• 서울(사설): ‘선제적 평화조치’ 무색한 北의 막말과 핵 위협
• 세계(사설): 관봉권 띠지 폐기, 이러니 檢 해체 주장 나오는 것
• 세계(사설): 석유화학 재편 착수, 다른 위기산업도 구조조정 시급
• 세계(사설): “美, 보조금 주고 삼성전자 지분 취득”… 도 넘은 압력
• 한국(사설): 대통령-기관장 임기 일치... 여야 합의 없인 또 '내로남불'
• 한국(사설): 이 대통령 실명 비난한 北, 화해 내미는 손 물어 뜯는 황당함
• 한국(사설): 트럼프 정부, 보조금 대가로 삼성 지분 내놓으라는 건가
• 한겨레(사설): 내란 특검, ‘대국민 사기극’ 벌인 한덕수 철저 수사해야
• 한겨레(사설): 석유화학 위기, 정부 적극 나서 구조개편 이뤄내야
• 한겨레(사설): 코레일 또 중대재해, 공공기관도 산재예방 말뿐인가
• 경향(사설): 또 코레일 중대재해, 공공부터 안전불감증 일신해야
• 경향(사설): 기로에 선 석유화학, 뼈를 깎는 구조조정이 먼저다
• 경향(사설): ‘속도 논쟁’ 검찰개혁, 답은 디테일과 공론화에 있다
• 매경(사설): "석화 통합 땐 인센티브" … 자율 구조조정 마지막 기회다
• 매경(사설): ‘농어촌 기본소득' 예타면제 안된다
• 매경(사설): "반도체지원금 대가로 지분 달라" 트럼프 행정부의 황당 요구
• 한경(사설): 스튜어드십 코드에까지 중대재해 명시, 규제가 선을 넘고 있다
• 한경(사설): 웨스팅하우스 계약 논란, 진상 규명 필요하지만 탈원전 빌미는 곤란
• 한경(사설): 보조금 대가로 삼성전자 지분 달라는 美…냉엄한 국제 질서의 현주소
• 서경(사설): 석유화학 구조조정 시동, 노봉법 시행 땐 파업에 ‘발목’
• 서경(사설): ‘AI 대전환’ 성장 전략, 기업이 주도해야 성공 가능
• 서경(사설): 美 삼성전자 지분에 눈독…‘반도체 국익’ 훼손 막아야
• 파이낸셜뉴스(사설): 기업 규제·형벌 감축 약속, ‘양치기 소년’ 되지 말아야
• 파이낸셜뉴스(사설): 석화 구조개편, 외환위기 극복한 사즉생 각오 필요
• 헤럴드경제(사설): ‘원팀’ 외친 李, 기업 사기 꺾는 법안 해소해야 진정성
• 헤럴드경제(사설): 안전보장도 영토회복도 남의 손에 운명 달린 우크라
• 이데일리(사설): “韓 밸류업 의지 있나” 글로벌IB 물음에 뭐라 답할 건가
• 이데일리(사설): ‘원팀'외치며 옥죄기 입법 동의, 기업들 기댈 곳이 없다
No comments:
Post a Comment