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World]
[Korea]
• 국정기획위: 은퇴후 월 500만원 벌어도 국민연금 안 깎인다
• 국회: [오늘의 주요일정]국회(8월20일 수요일)
• 기재위: 구윤철, 주식양도세 기준 논란에 “심사숙고 중”
• 기재부 등: [단독]정부 “석유화학 통폐합 없인 지원 없다”
• 경제학계: "고령화로 실질금리 낮아져…은행 자본 건전성도 약화"
• 정무위(강민국): "5년 부담돼" 청년도약계좌 중도해지 껑충…'미래적금' 곧 윤곽
• 금융위: 사망사고 낸 기업 대출엔 금리 올리고 한도 깎는다
• 금융시장: 대내외 불확실성에 움츠린 코스피…3,150선까지 후퇴
• 한수원: [단독] 원전 1기당 4억弗…'백지수표'도 썼다
• 민간연구소: “더 센 상법, 우호지분 의결권 38% 제한시켜”
• 국토부: 국토장관 "부동산 공급대책, 늦어도 9월초 발표"
• 철도공사: ‘산재와 전쟁’ 중에, 열차가 선로 작업자 덮쳐 2명 사망
[Opinions]
• Project Syndicate(Jim O'Neill): Is Trump a BRICS Secret Agent?
• Project Syndicate(Rogerio Studart): A Stealth Target of Trump’s Brazil Tariffs
• NYT(Andreas V. Georgiou): I’ve Seen What Happens When a Country Messes With Data. America, Beware.
• WP(Editorial Board): American housing policy needs a gut rehab
• Bloomberg(Jonathan Levin): S&P Exposed the Folly of the White House’s Economic Plan
• 동아(사설): 李 관세 대응 ‘원팀’ 강조… 기업 뛸 수 있게 ‘입법 숨통’ 열어줘야
• 동아(사설): 석유화학 재편 시동… 자구책 기대지 말고 정부가 나서라
• 동아(사설): 살던 곳에서 나답게… 우린 ‘품위 있는 죽음’ 준비돼 있나
• 조선(사설): 알박기 원조는 민주당, 방지법 만들되 다음 정부서 시행
• 조선(사설): 코레일 사망 ‘압수 수색하고 장관 책임지라’면 납득 되나
• 조선(사설): 네이버·카카오 20대 직원 30% 급감, AI 고용 쇼크 시작
• 중앙(사설): "졸속은 안 돼"…검찰 개혁 속도전에 제동 건 국무총리
• 중앙(사설): 노란봉투법 강행 태세, 재계 절박한 호소 안 들리나
• 문화(사설): ‘지명 철회’ 인사보다 흠결 더 심각한 새 교육장관 후보
• 문화(사설): 檢 해체 놓고 李대통령 “졸속 말라” 여당 “추석 전 완결”
• 문화(사설): 파생상품에도 관세 폭탄… 중소기업 살리기 더 급해졌다
• 국민(사설): 국힘, 혁신 없이 ‘윤 어게인’ 공방만 하다 전대 끝낼 텐가
• 국민(사설): 노란봉투법 밀어붙이면서 투자 요구, 이율배반 아닌
• 국민(사설): 결국 ‘힘의 논리’ 따르는 우크라 종전 협상… 남의 일 아니다
• 서울(사설): 기업인들에게 “성과 내달라”며 ‘노봉법’은 강행하나
• 서울(사설): 종전협상 급물살… 미·유럽 안전보장에 기댄 우크라의 비애
• 서울(사설): 원천기술 없어 벌어진 원전 수출 굴욕 협상
• 세계(사설): 조국 비리·천안함 음모론 비호… 교육 수장 자격 있나
• 세계(사설): 美 철강 파생상품에도 관세 폭탄, 후속협상서 막기를
• 세계(사설): 김정은 핵 위협… 韓 핵잠재력 강화 한·미회담 의제돼야
• 한국(사설): 검찰의 '건진 관봉권' 띠지 분실, 있을 수 없는 일
• 한국(사설): 50년 족쇄... 미국과 원전 불공정 계약 논란, 진상 밝혀야
• 한국(사설): 검찰 개혁에 "공론화" 주문 이 대통령, 모든 정책 기본 아닌가
• 한겨레(사설): 출처 담긴 관봉권 띠지 폐기한 검찰, 증거인멸 아닌가
• 한겨레(사설): 체코 원전 ‘불평등 계약’ 의혹, 철저히 진상 규명해야
• 한겨레(사설): 국정지지율 큰 폭 하락, 늘 민심 경청과 소통 이어가야
• 경향(사설): 불법 계엄 방조·거짓말, 한덕수 구속하라
• 경향(사설): 수주하고 손해나는 원전, ‘속 빈 강정’ 수출 되짚어야
• 경향(사설): 비전향장기수 북송 요청, 남북 당국 인도적으로 답하길
• 매경(사설): 기업인들에 "원팀" 강조한 李, 反기업법도 제동 걸어야
• 매경(사설): 한미훈련 축소에 "핵무장 급진적 확대"로 답한 김정은
• 매경(사설): 갈수록 늘어나는 '쉬었음 청년', 기성세대 책임 크다
• 한경(사설): "M&A는 최고의 중소기업 지원책"…관련 규제 더 풀어야
• 한경(사설): 관치금융 얼마나 심하면 글로벌 IB가 직접 점검 나설까
• 한경(사설): 외국 기업도, 中企도, 진보 성향 학회도 우려하는 노란봉투법
• 서경(사설): 당 대표 선출 투표 개시…‘쇄신 없는 국힘’ 전대 뒤가 더 암울
• 서경(사설): 노란봉투법도 모자라 ‘노동계 금통위원’까지 꺼내든 與
• 서경(사설): 상법 2차 개정 땐 우호지분 의결권 치명타, 기업 할 맛 나겠나
• 파이낸셜뉴스(사설): 밑지는 원전 수출, 철저한 점검으로 수익성 확보하길
• 파이낸셜뉴스(사설): 세계가 주목한 글로벌車 공로자 현대차 3代 회장
• 헤럴드경제(사설): 철강 파생상품에도 50%, 中企까지 타격 관세폭탄
• 헤럴드경제(사설): 산업혼란 부를 노봉법, 최소한 유예기간은 줘야
• 이데일리(사설): ‘그냥 쉬었음’ 청년 급증... 손실이 44조에 달한다니
• 이데일리(사설): 우리 기업들 덮치는 위기 쓰나미, 反기업법 멈춰야
No comments:
Post a Comment