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World]
• Middle East & Africa: Saudi Arabia freezes Riyadh rents for 5 years as property costs soar
[Korea]
• 대통령실: ‘145국 대표 참석’ 트럼프 환영만찬에 李 불참
• 대통령실: [단독]중기부 2차관에 ‘김어준 처남’ 인태연 유력
• 대통령실: 대통령실 고위참모 28명 중 10명 강남3구에 부동산 보유
• 대통령실: 대통령 특활비 첫 공개… 법원 결정 무시한 이재명 대통령실
• 국회: 78년만에 간판 내리는 검찰청
• 국회: [오늘의 국회일정] (26일, 금)
• 민주당: 민주 “가벼운 경제범죄, 징역·벌금 대신 과태료”
• 총리실: 김민석 “비자 문제 해결 안되면 美투자 불확실”
• 기재위(정태호): 與정태호 "한은, 전범기업 참여사업에 1조5천억 금융지원 예정"
• 기재위(차규근): 자영업자 소득 대비 부채 비율 10분기 만에 반등
• 기재부: 올해 국세 수입, 본예산 대비 12.5조 펑크
• 기재부: 개별소비세 인하 끝나나… 車 업계, 내수도 ‘암초’
• 정무위(민병덕): 국회에 모인 홈플러스 점주·직원·투자자 "MBK, 경영실패 아닌 계획된 먹튀"
• 정무위(신장식): (단독)'토스 봐주기 의혹' 금감원, 위반 건수 대거 하향
• 금융위: 4대 은행 ELS 과징금 8조원에서 5조원대로
• 금융위, 금감원: 금융위·금감원 존치에 환호와 박수… '추후 논의'엔 불안감도
• 경제단체: 재계 “청년고용 늘린 기업에 세제 지원을”
• 부동산원: 집값 치솟는 성동·마포…'투기과열' 규제 꺼내나
• 운영위(서미화): [단독] '출국금지' 김용원 해외출장 승인해준 안창호 "특검 9월까지라"
• 법사위(장경태): [단독] '윤 접견 녹취' 요구하자 '대통령기록물 해당?' 알아본 서울구치소장
• 법원: 오늘 尹재판 녹화 중계한다… 촬영도 허가
• 환노위(김위상): 퇴직연금 기금화 60%가 찬성…"금융기관에 운용 맡겨야"
• 문체위(양문석): [단독]"연예인 1인 법인, 실체 없으면 가차 없다"…당·정 강력 제재 예고
• 복지위(남인순): [단독] 국민연금 깎여도 미리 탄다…조기 수급자 100만명 육박
[Opinions]
• Project Syndicate(Stephen S. Roach): China Plans, America Reacts
• Bloomberg(Nir Kaissar): Millions of Americans Are Becoming Economically Invisible
• 동아(사설): 주 4.5일제 시동… 생산성 제고 없인 경제에 큰 짐 된다
• 동아(사설): “2035년 내연차 판매 중단”… ‘脫탄소 주도’ EU도 재검토하는데
• 동아(사설): 싱크홀 사고로 부인 잃은 80대 운전자에게 致死 혐의라니
• 조선(사설): 3500억달러 현금 투자는 불가능, 다만 조용히 설득해야
• 조선(사설): 몇 년 앞서가 길목 지키고 있는 中, 우리 미래가 막히고 있다
• 조선비즈(노자운): 대주주만 옥죄는 상법, 경영권 분쟁의 시대 불렀다
• 중앙(사설): 협치 불가 선언 같은 여당의 정부조직법 강행
• 중앙(사설): 두 번의 대책에도 집값 불안 확산…파상적 공급 대책 필요
• 중앙(이용우): 기반기술과 숙련 유지하며 신산업으로 업그레이드해야
• 문화(사설): 민주화 이후 국회 증언 관례 깨는 與 ‘총무비서관 비호’
• 문화(사설): 78년 만에 폐지당하는 검찰, 걱정되는 형사사법 대혼란
• 문화(사설): 李정부의 4.5일제 과속과 ‘억대 연봉’ 금융노조 파업
• 국민(사설): ‘두 국가론’ 둘러싼 정부 내 혼선 우려스럽다
• 국민(사설): 저출생 해법, 기업 협조와 지역 균형에 달렸다
• 국민(사설): 변호사 88% “검사 보완수사 필요”… 독불장군식 폐지 안 돼
• 서울(사설): 투자펀드 시각차, 유럽車도 15%… 출구 다급한 관세협상
• 서울(사설): 與 무한 독주, 野 필리버스터 맞불… 민생은 없다
• 서울(사설): “저출생 걱정에 주 4.5일”… 속이 빤한 억대 연봉 은행 파업
• 세계(사설): ‘실세’ 총무비서관 국감 출석 막는 與, 국민 안중에 없나
• 세계(사설): 고교학점제 ‘땜질식 개선’으론 현장 혼란 못 막는다
• 세계(사설): 유럽 車도 관세 15%… 한·미 협상 에이펙 전 마무리해야
• 한국(사설): "남북은 두 국가"라는 정동영…정부 내 대북 혼선 놔둘 건가
• 한국(사설): 김현지 총무비서관의 국정감사 불출석, '실세'라서인가
• 한국(사설): 줄줄 새는 건보재정, 국민 안전망 위협 안 보이나
• 한겨레(사설): 다시 꿈틀대는 서울 아파트값, 추가 대책 서둘러야
• 한겨레(사설): 검찰청 폐지 성토하는 노만석 대행, 왜 내버려두나
• 한겨레(사설): 통화스와프와 ‘상업적 합리성’, 관세협상 두 원칙 지켜야
• 한겨레(박용현): 초코파이 재판과 조희대, ‘사법 울분’의 시대
• 경향(사설): 고교학점제 3년 손 놓다 국교위에 떠넘긴 교육부의 몰염치
• 경향(사설): 검찰개혁 맞선 노만석의 궤변, ‘검찰이 헌법기관’인가
• 매경(사설): 억대 연봉 은행원의 총파업 명분이 '주 4.5일제'라니
• 매경(사설): "10년 내 내연차 퇴출" 무작정 유럽 따라갈 일 아니다
• 매경(사설): 고리원전 2호기, 수명 연장이 상식
• 한경(사설): 9·7대책 무색한 집값 반등…시민들이 '살고 싶은 집' 늘려줘야
• 한경(사설): 주 4.5일제 도입, 저성장·저투자·저고용 상황서 이렇게 서두를 일인가
• 한경(사설): 아르헨티나의 반복적 위기…한번 망가진 경제는 되살리기 어렵다
• 서경(사설): ‘금융위 해체’ 철회…일방통행식 조직개편, 국민 신뢰 얻겠나
• 서경(사설): ‘남북 두 국가’ 엇박자, 국방 불안 키우는 ‘李 안보라인’
• 서경(사설): 유럽車도 관세 15%…수출 악재에 파업 덮친 한국車
• 파이낸셜뉴스(사설): SK·LG의 AI전환 선언, 기업들엔 지금이 골든타임
• 파이낸셜뉴스(사설): 3년 연속 세수펑크, 추계 시스템 선진화 필요
• 헤럴드경제(사설): 의무지출 눈덩이, ‘재정 개혁’ 서두르라는 IMF 충고
• 헤럴드경제(사설): 노동시간만 아니라 노동생산성도 ‘OECD 평균’ 잡아야
• 이데일리(사설): 마구잡이 법안 발의 국회, 오죽하면 ‘법 공장’비판까지
• 이데일리(사설): 경쟁력 갉아먹는 전기료...K제조업 인내 한계 넘었다
• 오마이뉴스(박정훈): ‘쿠팡 공화국' 수호하는 검찰...삼성 엑스파일 사건 떠올랐다