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World]
• International: World economy faces 'pivotal moment', central bank body BIS says
• International: World Bank warns that 39 fragile states are falling further behind as conflicts grow, get deadlier
• International: Powell and Lagarde Count Cost of Trump’s Turbulence
• US: Big banks all pass the Federal Reserve's stress tests, but the tests were less vigorous this year
• Middle East & Africa: Trump Says U.S. Won’t Lift Iran Sanctions
• Middle East & Africa: How Israel-Aligned Hackers Hobbled Iran’s Financial System
• Middle East & Africa: Intercepted call of Iranian officials downplays damage of U.S. attack
• Business: The A.I. Frenzy Is Escalating. Again.
• Business: Xiaomi Takes Aim at Tesla With New SUV
[Korea]
• 대통령실: ‘친명 좌장’ 법무장관, ‘원전 기업인’ 산업장관
• 대통령실: 국정원 예산-인사관리 기조실장에 ‘李 변호’ 김희수
• 대통령실: 민정수석에 봉욱… 오광수 이어 다시 檢출신
• 대통령실: ‘친노 적자’ 김경수, 대통령 직속 지방시대위원장에
• 대통령실: 식약처장 오유경 유임… 송미령 이어 두번째
• 대통령실: ‘코로나 사령탑’ 지낸 정은경, 복지장관 후보자에
• 대통령실: 국토부 1차관 ‘부동산 개발이익 환수’ 주장 이상경
• 대통령실: 교육장관에 ‘서울대 10개 만들기’ 이진숙 前총장
• 대통령실: 경찰청 차장 유재성-국수본부장 박성주
• 대통령실: 대통령실 외교비서관에 최희덕 駐선양 총영사
• 국정기획위: 국정기획위 ‘기본사회 TF’ 가동… 생애주기 맞춤소득 등 논의
• 국정기획위: 국정위 “한은, 스테이블코인 규제에만 집중”
• 국정기획위: 李정부 '210조 공약' 선별작업 착수…아동수당 재원 가장 클 듯
• 국정기획위: [단독] “비정규직 많은 기업, 보험료 더 내라”
• 전대통령: 김건희 여사 11일 만에 퇴원... 尹이 직접 휠체어 밀어
• 국회: [오늘의 주요일정]국회(6월30일 월요일)
• 예결위: 국회 예결위, 추경안 심사 시작…대정부 종합정책질의
• 금융위 등: 오늘부터 수도권 집 살때 6억 넘게 못빌린다
• 금융위 등: 주담대 받아 집 사면 6개월내 전입해야… ‘갭 투자’ 사실상 차단
• 금융위 등: “부동산 ‘불장’ 단기 진정효과… 한강벨트 고가주택 수요 꺾일듯”
• 금융위 등: 성동-마포 등 토지거래허가구역 확대도 검토
• 금감원: 무너지는 서민금융…대부업 이용자 28% 급감
• 경제단체: 中企 7월 체감경기 전월비 1.6p↑…전년보다는 낮아
• 특검: ‘방첩사 블랙리스트’도 내란 특검이 수사한다
• 교육위: 국회, 내달 10일 '리박스쿨' 청문회 연다
• 국방위(부승찬): [단독] "11월에도 무인기 보냈다"‥'충돌' 유도했나
• 국방부: “北은 적이자 동포… 9·19 군사합의 복원”
• 농해수위: 송미령 “모든 정책, 새 정부 국정철학 맞추겠다”
• 연금특위: 월 급여 지출 4조 넘었는데 감감무소식인 국민연금 구조개혁
• 국민연금: 내달부터 국민연금 월 최대 1만8천원 더낸다
[Opinions]
• Project Syndicate(Rana Mitter): The Long March of China’s Economy
• Project Syndicate(Martijn Konings): Austerity Budgets Are a Gift to Populists
• WSJ(Editorial Board): A ‘Revenge Tax’ Victory for Congress
• WSJ(Editorial Board): The U.K.’s Millionaire Expat Exodus
• WP(George F. Will): Exploding U.S. indebtedness makes a fiscal crisis almost inevitable
• FT(Katie Martin): Time to give the euro a glow-up
• 동아(사설): 부동산 대출 초강력 규제… 공급대책 병행해야 집값 잡힐 것
• 동아(사설): 고리 1호기 해체 승인… ‘500조 원전 해체 시장’ 선점 기회로
• 동아(사설): SNS로 번지는 불법 추심… 인간관계까지 파탄 내는 ‘돈의 덫’
• 동아(사설): 협치 말하며 독주하는 與, 쇄신 뭉개고 당권만 좇는 野
• 동아(사설): 尹 “비공개 출석” “警 조사 못 받아”… 대체 왜 이러는지
• 동아(사설): 지방자치 30년 〈1〉… 수도권 일극 체제 깨야 ‘더 나은 삶’ 열린다
• 조선(사설): 초강력 부동산 대책 내놓고 “대통령실 대책 아니다”라니
• 조선(사설): 대통령은 “협치” 민주당은 야당 무시, 사전 각본인가
• 조선(사설): 사상 최초 정치인 국세청장, 부적절하다
• 조선(사설): 국힘 김용태 비대위, 계엄·탄핵 반성문도 못 내고 끝났다
• 조선(사설): 친명 조직부터 찾아가 충성 경쟁한 與 대표 후보들
• 조선(사설): 정성호·봉욱 라인 사법 근본 생각하길
• 중앙(사설): 집값 잡기 초강력 대출규제…장기책도 고민을
• 중앙(사설): 대통령은 협치 말하는데 여당은 일방통행해서야
• 중앙(사설): 특검과 윤 전 대통령의 ‘기싸움’…중요한 건 실체 규명
• 문화(사설): 李대통령은 野에 협치 요청, 巨與는 청문회·입법 폭주
• 문화(사설): GP 복원, NLL 훈련… 안보는 정권과 무관하게 강화해야
• 문화(사설): 이탈 전공의들의 전문의 시험 추가 요구, 허용 이유 없다
• 국민(사설): 집값 또 폭등… 시장 신뢰부터 회복해야
• 국민(사설): 與 총리 인준·추경 더 설득하고, 野는 대승적 협조 필요
• 국민(사설): 가상화폐 업신여기던 한은 스스로 CBDC 좌초 위기
• 서울(사설): 小野 지리멸렬하기로서니… 협치 시늉조차 않는 巨與
• 서울(사설): 초강력 집값 대책… 애먼 무주택·실수요자 피멍 들지 않게
• 서울(사설): 특검 “무제한 소환” 자초한 尹… 국민이 부끄럽다
• 세계(사설): 여당 의원의 무더기 내각 입성, 권력 집중 우려된다
• 세계(사설): 국힘 이젠 지도체제 갈등, 보수 혁신은 언제 하나
• 세계(사설): 尹 특검 조사 파행, 더는 부끄러운 모습 보이지 마라
• 한국(사설): 대통령실 대책 아니라는 첫 부동산 규제...혼란 부추기나
• 한국(사설): 여당, 법사위원장 단독 선출... 무색해진 이 대통령 협치
• 한국(사설): 500조 시장 교두보 고리 1호기 해체...속도보다 안전을
• 한국(사설): 삼풍백화점 붕괴 30년, 우리 사회 달라졌나
• 한국(사설): 특검조사도 시간끌기로 국민 실망시킨 윤 전 대통령
• 한국(사설): 장관 후보자에 여당 의원 7명...국민통합 아쉽다
• 한겨레(사설): ‘대출 조이기’로 시동 건 부동산 대책, 긴장 늦추지 말아야
• 한겨레(사설): 어김없이 시한 넘기는 최저임금 심의, 소모적 공방 넘어설 제도개선 절실
• 한겨레(사설): 국회 추경 처리와 총리 인준 더 늦출 일 아니다
• 한겨레(사설): 경찰에는 조사 못 받겠다는 윤석열, 염치없다
• 한겨레(사설): 이재명 경제팀 기재부 출신으로 포진, 개혁 잊지 말아야
• 경향(사설): 집값 잡기 초강력 대출규제, 불가피하나 실수요자 피해 최소화해야
• 경향(사설): 고리 1호기 해체 승인, 핵 폐기장 확보 더는 미룰 수 없다
• 경향(사설): 경찰 신문 못 받겠다는 윤석열, 내란 피의자가 할 소린가
• 경향(사설): ‘정치인’ 법무장관·‘검사’ 민정수석, 사법개혁 박차 가하길
• 경향(사설): 서울 ‘집값 불장’ 대출로 끄고, 실효적 공급·지역균형책 짜야
• 매경(사설): 집값 잡으려 고강도 대출 규제, 공급 대책도 병행해야
• 매경(사설): ‘법사위원장 야당 몫' 관행 무시한 與, 이래서 협치 되겠나
• 매경(사설): 고리 1호기 해체 결정, 500조 원전해체 시장 디딤돌 되길
• 매경(사설): 진용 갖춘 이재명 1기 내각…실용노선 실천이 중요
• 매경(사설): 美와 관세 협상 시간에 쫓길 필요 없다
• 매경(사설): 고령 운전자 사고 역대 최다…면허갱신 심사 강화해야
• 한경(사설): 대출만 죄어선 집값 못 잡아 서울 공급 확대도 나와야
• 한경(사설): 긴축 재정 이유 설명하라며 공무원 야단치는 나라
• 한경(사설): 美 항모 촬영 中 유학생 구속…외국인 간첩죄 처벌법 서둘러야
• 한경(사설): 부동산시장 대혼란…대출 규제, 선의의 피해자 없게 해야
• 한경(사설): 대통령 '협치' '소통' 강조하는데도 여당은 독주 일변도
• 한경(사설): 산업부 장관 후보자에 원전 기업인…AI 강국 초석 놓길
• 서경(사설): 고강도 집값 대책 발표…대출 규제·공급 확대 고차방정식 풀어야
• 서경(사설): 李 대통령 “야당 협조” 주문하는데 巨與는 입법 강행할 건가
• 서경(사설): 美 “국방비 증액·고관세 확대” 압박…치밀한 협상으로 국익 지켜라
• 서경(사설): 재계와 또 만나는 巨與, 상법 부작용 우려 경청해 더 숙의해야
• 서경(사설): 美 “北과 갈등 해결”…굳건한 한미동맹 토대로 ‘북미 직거래’ 막아라
• 서경(사설): 경제팀에 관료·기업인…‘실용적 시장주의’로 저성장 극복하라
• 파이낸셜뉴스(사설): ‘기업인 중용' 1기 내각, 민관협력 효과 기대 크다
• 파이낸셜뉴스(사설): 북극항로, 무역대국 한국의 '젖줄'로 키워야
• 헤럴드경제(사설): 고리 1호기 해체, 기술 자산 쌓되 연장·활용 전략도 필요
• 헤럴드경제(사설): 美 “국방비 나토처럼” 압박…안보·방산 강화 기회로
• 이데일리(사설): 외국인 스파이 행위 간첩죄 처벌, 입법 늦출 이유 없다
• 이데일리(사설): 다시 시동 건 한미 관세협상, 긴박감 갖고 최선 다해야
No comments:
Post a Comment