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World]
[Korea]
• 국회: [오늘의 주요일정]국회(5월27일 화요일)
• 여론조사: 이재명 45.9% 김문수 34.4% 이준석 11.3%
• 개혁신당: 이준석 “유튜브 되고 TV 안되는 광고규제 폐지”
• 개혁신당: 재력가 아들 '대학생위원장' 당선, 이준석이 도와준 정황
• 한은: 4월 거주자 외화예금 3개월 연속 감소
• 정무위(김재섭): [단독]민간 실손보험 8% 오를 때… 정부기관 우체국 18% 인상
• 금융사: 12억 넘는 고가 아파트·2주택자도 주택연금 받는다
• 공정위: 공정위, ‘감리비 담합’ 지역 건축사 협동조합 제재
• 비금융사: 홈플러스 입점 매장 300곳 폐점 위기
• 비금융사: 건설 불황 직격탄…동국제강 인천공장 '셧다운'
• 건설업계: 업계 “GTX, 기존 노선 정상화 급선무”
• 고용부: [단독] 정치가 부른 불황… 사장님이 사라진다
• 진화위: 진실화해위 조사기간 만료… 1만8808건 처리
• 과기부: 정부, 네이버-쿠팡-KT 등 해킹여부 직접 조사
[Opinions]
• Project Syndicate(Anne O. Krueger): Trump’s Anti-Growth Policies
• Project Syndicate(Stephen S. Roach): Trump’s Unworkable Trade Formula
• Project Syndicate(Paola Subacchi): US Fiscal Irresponsibility Is Everyone’s Problem
• Project Syndicate(Yi Fuxian): What Trump Gets Right About China
• WSJ(Editorial Board): The New Retirement Age in Denmark Is 70
• NYT(Peter R. Orszag): I Was Obama’s Budget Director. It’s Time to Worry About the National Debt.
• WP(Scott Lincicome): Republicans can’t pay for their tax cuts with fantasy revenue sources
• FT(Martin Wolf): The UK’s trade performance remains dire
• Bloomberg(Andy Mukherjee): Modi Must Hold the Line on Food and Fuel Trade
• 동아(사설): “‘브’ 뭐 나라 망가져” “중국은 적국”… 외교 부메랑 될 경솔한 언사
• 동아(사설): 대선마다 반복되는 단일화 소동… 결선투표 검토할 때 됐다
• 동아(사설): 법관회의 의결 대선 후로 연기… 더 숙고하고 더 숙의해야
• 조선(사설): 공약 깜깜이 대선, 판단 근거 역할 하는 TV 토론
• 조선(사설): 李 무죄 만들기 법안들도 철회하길
• 조선(사설): 대선서도 실종된 통일 담론, 그래도 통일은 온다
• 중앙(사설): 사법부 흔들기 철회, 위장전술이어선 안 된다
• 중앙(사설): 주한미군 감축설 여진…트럼프 맞춤형 안보 전략 고민을
• 문화(사설): 트럼프 “휴대폰도 관세”…한국 피해 없도록 총력전 펼 때
• 문화(사설): 李 ‘대법원 장악법’ 대선 뒤에도 추진 않는다고 밝혀야
• 문화(사설): 지지율 근접 속 사전투표 D-3, 중도층이 승패 가른다
• 국민(사설): ‘사법 장악’ 역풍에 법안 철회… 李, ‘사법 독립’ 확약해야
• 국민(사설): 지각 공약집에 장밋빛 정책 일색… 깜깜이 대선 우려
• 서울(사설): 대선 뒤 미룬 법관회의, ‘사법 독립’ 스스로 지킬 의지 있나
• 서울(사설): 李 무원칙 실용외교, 金 뻔한 동맹관… 토론서 검증해야
• 서울(사설): 트럼프 “원자력 시대”… 관세협상에 십분 활용 준비됐나
• 세계(사설): 관세협상 공식 ‘청구서’ 내민 美, 전략적 대응 강구하길
• 세계(사설): 국제 정세 긴박한데 원론 수준 그친 李의 안보 공약
• 세계(사설): 민주, 비법조인 임용 철회… ‘대법원 장악’ 시도 접어라
• 한국(사설): 대선 뒤로 결론 미룬 법관회의… 차분히 사법 발전 논의하길
• 한국(사설): 경쟁 후보 좋은 공약 수용하는 큰 선거 하길
• 한국(사설): 하루 12통 민원에 시달린 제주 교사… 나아진 게 없는 교권
• 한겨레(사설): 대선 후 열기로 한 법관회의, ‘국민의 사법부’ 고민하길
• 한겨레(사설): ‘단일화’에 목맨 국민의힘, 누구를 위한 단일화인가
• 한겨레(사설): 미국 비관세장벽 압박 본격화, 신중한 협상 견지해야
• 경향(사설): 단일화 명분·효과 다 물음표, 보수 혁신은 거꾸로 가는 길
• 경향(사설): 민원 시달리다 숨진 제주 교사, ‘교권 보호’ 갈 길 멀다
• 경향(사설): 법관회의 연기·민주당 법안 철회, 사법개혁은 백년대계로
• 매경(사설): 정년연장 아닌 계속고용 도입해야 청년도 산다
• 매경(사설): 진정한 사법부 독립은 재판의 탈정치화
• 매경(사설): 李 "정치보복 없다" 金 "사전투표 하자"… 참 당연한 말
• 한경(사설): 53년 역사 동국제강 인천공장까지 밀어닥친 철강산업 위기
• 한경(사설): 한국, 챗GPT 사용자 美 다음으로 많다는데…
• 한경(사설): 이재명 "日은 협력 파트너"…진정성·구체성이 관건
• 서경(사설): “모든 것은 AI로 통한다”… ‘3대 강국’되려면 민관정 총력전 펴라
• 서경(사설): 미·유럽 ‘脫탈원전’ 바람, 대선후보 원전 생태계 복원 나서라
• 서경(사설): ‘대법관 100명’ 법안 철회…사법부 독립 훼손 결코 없어야
• 파이낸셜뉴스(사설): 美 원전 용량 4배로 확대, 다시 못 볼 K원전의 기회
• 파이낸셜뉴스(사설): 첨단기술 유출 점점 지능화, 중대 범죄로 엄단해야
• 파이낸셜뉴스(이종욱): 합의형 채무조정의 활성화
• 이데일리(사설): 美 원전 르네상스 선언, 한미 경협 새판 짤 기회 왔다
• 이데일리(사설): 5년간 23조원 피해, 기술 유출에 간첩죄 왜 안 묻나
No comments:
Post a Comment